한국 문화 워크숍으로 성우·제작진 현지 이해 높여
![]() |
| ▲ 20일 부산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개막한 '2025 아시아콘텐츠&필름마켓'(ACFM)에서 넷플릭스코리아 주최로 '지금 당신의 작품, 더빙 가능한가요?' 세션이 진행되고 있다.[촬영 나확진] |
'오징어게임3' 더빙에 1천320명 참여…25개 언어 지원
넷플릭스, 부산 ACFM서 글로벌 더빙 전략 공개
한국 문화 워크숍으로 성우·제작진 현지 이해 높여
(부산=연합뉴스) 나확진 기자 = 지난 6월 공개된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 시즌3는 25개 언어로 더빙되면서 각국에서 성우를 포함해 모두 1천320명의 인력이 참여했다고 넷플릭스 측이 밝혔다.
최민디 넷플릭스 시니어 매니저는 20일 부산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개막한 '2025 아시아콘텐츠&필름마켓'(ACFM)에서 넷플릭스코리아 주최로 진행된 '지금 당신의 작품, 더빙 가능한가요?' 세션에서 넷플릭스의 더빙 전략을 소개했다.
넷플릭스는 각국의 다양한 콘텐츠를 시청자에게 보다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해 평균 10개, 최대 30여개 언어로 더빙과 자막을 제공한다.
2021년 오징어게임 시즌1이 처음 공개될 때 13개 언어 더빙에 1개 언어 오디오 화면해설이 제공됐으나,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시즌3 때는 25개 언어로 더빙됐고 시각장애인 등을 위한 오디오 화면해설은 19개 언어로 늘어났다는 설명이다.
넷플릭스 콘텐츠 가운데 처음으로 누적 시청수 3억회를 넘긴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34개 언어 더빙과 16개 오디오 화면 해설을 지원한다.
통상적으로 한 개 언어로 더빙할 때 성우를 포함해 50~60명의 제작 인력이 투입된다고 한다.
넷플릭스는 전 세계 190여 국가를 크게 아시아태평양(APAC), 북미(UCAN), 중남미(LATAM), 유럽·중동·아프리카(EMEA) 지역으로 구분하고 권역별 특성에 맞춰 더빙을 제작한다.
흑백요리사와 같은 예능 프로그램의 경우 유럽 등 다른 권역에서는 출연자의 한국어 발언이 작은 소리로 어느 정도 들리는 '보이스 오버' 방식으로 더빙했지만, 남미 지역에서는 출연자의 원래 목소리를 전부 현지 언어로 대체하는 '립싱크' 방식을 사용하고 음악과 효과음도 추가해 넣었다고 최 매니저는 설명했다.
넷플릭스는 더빙된 프로그램이 원래 제작된 현지의 문화가 잘 전달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더빙 제작진을 상대로 한 교육도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넷플리스코리아 더빙팀은 2022년부터 미국, 유럽, 남미 지역의 성우 등 수백명을 대상으로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온라인 워크숍을 진행하고 있다.
이 교육에는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뿐 아니라 한국 속담이나 표현에 대해서도 가이드를 제공하고, 표정·바디 랭귀지에 대한 교육도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