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
| ▲ 박서보의 1962년 '원형질'전 초청장.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아카이브로 보는 한국전위미술의 다양한 양상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한국전위미술사: 영원한 탈주를 꿈꾸다'전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기자 = 서울 종로구에 있는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에서 한국미술사에서 '전위'의 의미를 되새기는 '한국전위미술사: 영원한 탈주를 꿈꾸다'전이 열리고 있다.
우리나라 첫 근대 미술단체인 서화협회가 발행한 '서화협회보' 창간호(1921)와 박서보 등이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보이콧을 선언했던 '4인전'(1956) 리플릿, 비닐과 철판 등의 오브제를 활용한 작품을 선보인 제1회 무동인회전(1962) 리플릿, 한국아방가르드협회(AG)의 동인지(1969)와 포스터(1971), 실험미술 선구자였던 정강자의 첫 개인전 '무체전'(1970) 팸플릿 등 주제별로 대표적인 사건 관련 아카이브 100여점을 통해 192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한국미술 속 '전위'의 양상을 살핀다.
연계 세미나도 열린다. 21일에는 강혜승 상명대 초빙교수가 '한국 전위미술에서 발견된 대항문화: 시대의 발언'을, 28일에는 미술사학자 조수진이 ''제4집단 사건'으로 본 자유주의적 청년문화와 한국 전위미술의 관계'를 주제로 발표한다.
김달진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장은 "한국 실험미술이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그 특유의 도전적인 양상이지만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로 다소 협소한 시기에 국한돼 있다"며 "192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연대를 확장해 한국 전위미술의 역사를 살피는 전시"라고 소개했다.
전시는 내년 3월22일까지.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