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유학연수 방한 외국인도 급감…2년새 37만→8만명

박상돈 / 2022-03-28 06:01:03
  • facebookfacebook
  • twittertwitter
  • kakaokakao
  • pinterestpinterest
  • navernaver
  • bandband
  • -
  • +
  • print
작년 유학연수 외국인, 중국-베트남-일본-몽골 순으로 많아
몽골은 방한객 중 절반 이상이 유학연수 목적
▲ 추석맞이 연날리기 2020년 9월 25일 대구 달서구 계명문화대학교에서 열린 추석맞이 한국문화체험행사에서 국제교육원 한국어학당 외국인 유학생들이 연을 날리는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코로나로 유학연수 방한 외국인도 급감…2년새 37만→8만명

작년 유학연수 외국인, 중국-베트남-일본-몽골 순으로 많아

몽골은 방한객 중 절반 이상이 유학연수 목적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지난해 유학연수 목적으로 한국을 찾은 외국인이 8만명에 그쳐 코로나19 사태 이전보다 80%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방한 외국인 96만7천3명 중 유학연수 목적의 외국인은 8.3%인 8만84명이었다.

이는 유학연수 목적의 방한 외국인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가장 적은 것이다.

지난해 유학연수를 위해 방한한 외국인은 전년보다는 32.4% 줄었다. 코로나19 사태 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78.7%나 감소한 것이다.

이 수치는 2010년 13만8천명에서 꾸준히 늘어 2017년(30만2천652명)에 처음으로 30만명 선을 넘은 뒤 2018년 33만2천명에 이어 2019년 37만6천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K-팝을 비롯한 한류 열풍으로 국내 대학 등을 찾아 유학이나 연수를 하려는 외국인이 지속해서 늘었기 때문이다.

[표] 유학연수 목적 방한객 추이

┌──────────────────┬──────────────────┐

│연도│유학연수 목적 방한객(명)│

├──────────────────┼──────────────────┤

│2021│80,084│

├──────────────────┼──────────────────┤

│2020│118,462│

├──────────────────┼──────────────────┤

│2019│375,661│

├──────────────────┼──────────────────┤

│2018│332,011│

├──────────────────┼──────────────────┤

│2017│302,652│

├──────────────────┼──────────────────┤

│2016│250,716│

├──────────────────┼──────────────────┤

│2015│202,708│

├──────────────────┼──────────────────┤

│2014│163,446│

├──────────────────┼──────────────────┤

│2013│152,100│

├──────────────────┼──────────────────┤

│2012│145,633│

├──────────────────┼──────────────────┤

│2011│149,723│

├──────────────────┼──────────────────┤

│2010│137,896│

└──────────────────┴──────────────────┘

그러나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아 2020년 11만8천명 수준으로 급감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8만여명으로 더 떨어졌다.

지난해 유학연수 목적의 방한 외국인을 국적별로 살펴보면 중국이 3만4천718명으로 1위였고 이어 베트남(9천955명), 일본(4천618명), 몽골(2천996명), 미국(2천641명), 우즈베키스탄(2천493명), 프랑스(2천336명), 독일(1천985명) 등의 순이었다.

중국은 지난해 방한객 17만215명 중 유학연수 목적의 방한객이 20.4%를 차지해 평균을 웃돌았고, 관광 목적 방한객(1만4천824명)의 2.3배에 달했다. 일본은 유학연수 목적의 방한객 비율이 30.3%로, 관광 목적 방한객(1천47명) 대비 4.4배였다.

몽골은 전체 방한객 중 유학연수 목적의 방한객이 51.9%로 절반이 넘고 베트남도 43.4%에 달했다.

반면 미국은 유학연수 목적의 방한객이 2천641명으로 전체 방한객(20만4천25명)의 1.3%에 그쳤다.

지난해 유학연수 목적의 방한객 수를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중국이 85.4%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베트남은 77.9%, 일본은 64.0%, 몽골은 65.5%, 미국은 49.0%, 우즈베키스탄은 63.8%, 프랑스는 55.6%, 독일은 39.9% 각각 감소했다.

[표] 국적별 유학연수 목적 방한객

┌────────────┬────────────┬───────────┐

│국가│2021년(명)│2019년(명)│

├────────────┼────────────┼───────────┤

│중국│34,718│238,209│

├────────────┼────────────┼───────────┤

│베트남│9,955│45,013│

├────────────┼────────────┼───────────┤

│일본│4,618│12,845│

├────────────┼────────────┼───────────┤

│몽골│2,996│8,696│

├────────────┼────────────┼───────────┤

│미국│2,641│5,176│

├────────────┼────────────┼───────────┤

│우즈베키스탄│2,493│6,882│

├────────────┼────────────┼───────────┤

│프랑스│2,336│5,263│

├────────────┼────────────┼───────────┤

│독일│1,985│3,304│

├────────────┼────────────┼───────────┤

│아프리카 기타│1,598│2,856│

├────────────┼────────────┼───────────┤

│러시아│1,457│2,100│

├────────────┼────────────┼───────────┤

│인도네시아│1,122│3,146│

├────────────┼────────────┼───────────┤

│아시아 기타│1,008│3,126│

├────────────┼────────────┼───────────┤

│대만│864│4,847│

├────────────┼────────────┼───────────┤

│카자흐스탄│808│1,822│

├────────────┼────────────┼───────────┤

│스페인│768│917│

├────────────┼────────────┼───────────┤

│미얀마│756│1,029│

├────────────┼────────────┼───────────┤

│구주 기타│646│1,151│

├────────────┼────────────┼───────────┤

│말레이시아│626│2,489│

├────────────┼────────────┼───────────┤

│인도│603│1,975│

├────────────┼────────────┼───────────┤

│태국│588│1,741│

├────────────┼────────────┼───────────┤

│미주 기타│557│1,205│

├────────────┼────────────┼───────────┤

│파키스탄│544│2,100│

├────────────┼────────────┼───────────┤

│홍콩│514│2,772│

├────────────┼────────────┼───────────┤

│이탈리아│446│793│

├────────────┼────────────┼───────────┤

│방글라데시│397│1,404│

├────────────┼────────────┼───────────┤

│터키│359│675│

├────────────┼────────────┼───────────┤

│네덜란드│352│1,188│

├────────────┼────────────┼───────────┤

│스웨덴│328│728│

├────────────┼────────────┼───────────┤

│멕시코│327│906│

├────────────┼────────────┼───────────┤

│벨기에│275│386│

├────────────┼────────────┼───────────┤

│GCC│266│1,112│

├────────────┼────────────┼───────────┤

│스위스│251│336│

├────────────┼────────────┼───────────┤

│핀란드│244│548│

├────────────┼────────────┼───────────┤

│폴란드│218│373│

├────────────┼────────────┼───────────┤

│영국│214│707│

├────────────┼────────────┼───────────┤

│덴마크│211│481│

├────────────┼────────────┼───────────┤

│이란│193│345│

├────────────┼────────────┼───────────┤

│캄보디아│189│619│

├────────────┼────────────┼───────────┤

│브라질│187│414│

├────────────┼────────────┼───────────┤

│캐나다│179│697│

├────────────┼────────────┼───────────┤

│필리핀│173│1,392│

├────────────┼────────────┼───────────┤

│우크라이나│161│285│

├────────────┼────────────┼───────────┤

│노르웨이│156│370│

├────────────┼────────────┼───────────┤

│오스트리아│123│268│

├────────────┼────────────┼───────────┤

│싱가포르│116│1,168│

├────────────┼────────────┼───────────┤

│스리랑카│96│297│

├────────────┼────────────┼───────────┤

│포르투갈│85│148│

├────────────┼────────────┼───────────┤

│루마니아│61│99│

├────────────┼────────────┼───────────┤

│오스트레일리아│59│535│

├────────────┼────────────┼───────────┤

│불가리아│52│80│

├────────────┼────────────┼───────────┤

│아일랜드│45│65│

├────────────┼────────────┼───────────┤

│이스라엘│38│65│

├────────────┼────────────┼───────────┤

│마카오│22│288│

├────────────┼────────────┼───────────┤

│그리스│17│21│

├────────────┼────────────┼───────────┤

│대양주 기타│16│47│

├────────────┼────────────┼───────────┤

│크로아티아│12│38│

├────────────┼────────────┼───────────┤

│뉴질랜드│7│49│

├────────────┼────────────┼───────────┤

│남아프리카공화국│5│52│

├────────────┼────────────┼───────────┤

│국적미상│3│18│

└────────────┴────────────┴───────────┘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Most Popular

K-POP

K-DRAMA&FI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