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봄소식 전하는 한라산 세복수초 개화 (제주=연합뉴스) 한라산 주변 세복수초 자생지에서 지난 15일 세복수초의 첫 개화가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에 의해 관측됐다. 2024.1.17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koss@yna.co.kr |
![]() |
| ▲ 봄소식 전하는 한라산 세복수초 개화 (제주=연합뉴스) 한라산 주변 세복수초 자생지에서 지난 15일 세복수초의 첫 개화가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에 의해 관측됐다. 2024.1.17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koss@yna.co.kr |
![]() |
| ▲ 봄소식 전하는 한라산 세복수초 개화 (제주=연합뉴스) 한라산 주변 세복수초 자생지에서 지난 15일 세복수초의 첫 개화가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에 의해 관측됐다. 2024.1.17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koss@yna.co.kr |
노란 꽃 피워 봄소식 전하는 한라산 '세복수초'
1월 중순부터 개화…꽃잎 가늘고 긴 제주 자생종
(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 = 남녘 제주에 봄을 알리는 노란 복수초꽃이 고개를 내밀었다.
17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15일 한라산 주변 자생지에서 세복수초의 첫 개화가 관측됐다.
제주에서만 자생하는 세복수초는 봄을 알리는 대표적인 식물이다. 보통 1월 중순부터 개화가 시작된다.
세복수초는 눈 속에 꽃이 핀다고 해 '얼음새꽃'이나 '설연화'라고 불리기도 한다.
세복수초는 여러해살이풀로 10∼30㎝ 높이까지 자라나 일반 복수초에 비해 3배 이상 키가 크다.
또 잎자루가 매우 짧고 꽃잎이 꽃받침보다 긴 모습을 보인다.
일반 복수초보다 꽃이 필 때 잎이 가늘고 길게 갈라진다는 특징을 보여 '세'(細)를 붙여 세복수초라고 한다.
이보라 연구사는 "한반도 최남단 제주에서는 세복수초와 함께 봄소식을 전한다"며 "세복수초 개화는 계절 변화를 다시 한번 느끼게 하며 자생지 보존의 중요성을 새삼 일깨운다"고 말했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