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불법징집·공작 피해 조사 신청 기자회견 [촬영 김준태 수습기자] |
"불법징집·공작 피해자 최소 2만명…진실화해위가 조사해달라"
(서울=연합뉴스) 김치연 기자 = 군사정권 시절 불법 징집이나 보안·기무사령부의 불법 공작으로 피해를 봤다는 당사자들이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의 조사 결과가 왜곡됐다며 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진실화해위)에 진실규명을 신청했다.
불법 징집과 보안·기무사령부 불법 공작 진실규명 공동 신청인단은 16일 오전 서울 중구 진실화해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불법 징집·공작 피해자는 최소 2만여 명에 달한다"며 "완전한 진실규명과 명예 회복을 위해 피해자가 직접 진실규명을 신청한다"고 밝혔다.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는 2006년 강제징집·녹화사업 진상조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강제징집 등을 지시한 사람이 전두환 전 대통령이었다고 위원회는 결론 내렸다.
국방부 과거사진상위가 발표한 피해자 규모는 실제보다 축소됐으며, 피해가 발생한 기간도 전두환 정권 당시에 국한되지 않고 박정희·전두환·노태우 정권 30여 년간 지속됐다는 것이 신청인단의 주장이다.
녹화사업은 '좌경 사상으로 붉게 물든 학생을 푸르게 순화하는 사업'이라는 의미로, 보안사가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을 벌인 대학생들을 강제로 입영시키고 특별 정훈교육을 받게 한 것이 주된 내용이다.
35개 대학·1개 고등학교 출신 피해·희생자 150명으로 구성된 신청인단은 회견을 마친 뒤 신상정보가 파악된 2천512명의 피해·희생자를 사건 관련자로 명시한 진실규명 신청서를 제출하고, 정근식 진실화해위원장과 면담을 진행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