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특화주택·고령층 맞춤형 임대주택 건설 등 추진
![]() |
| ▲ 1인 가구 (PG) [연합뉴스 자료그래픽] |
![]() |
| ▲ 대전 도심 [연합뉴스 자료사진] |
[톡톡 지방자치] 1인가구 급증으로 주거안정·돌봄 시급해진 대전
청년·노인 1인 가구 10년 사이 7만5천가구 증가
청년 특화주택·고령층 맞춤형 임대주택 건설 등 추진
(대전=연합뉴스) 양영석 기자 = 153만명을 웃돌던 대전 인구는 2015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해 지난해 145만명으로 줄었다.
6년간 8만여명의 인구가 줄었지만, 전체 가구 수는 오히려 증가했다.
비혼·만혼주의가 확산하고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1인 가구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대전의 1인 가구는 가파르게 늘고 있다. 2010년 13만4천가구에 불과했던 1인 가구는 2020년 22만8천가구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청년(20∼39세) 1인 가구는 6만8천가구에서 11만3천가구로, 노인(60세 이상)은 2만8천가구에서 두배가 넘는 5만8천가구로 급증했다. 자연스럽게 이들에 대한 주거·돌봄·치안 등의 지원도 중요해졌다.
대전시가 1인 가구 지원정책을 종합·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올해 처음 '1인 가구 지원 시행계획'을 수립해 추진하는 이유다.
2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1인 가구의 주거 안정을 위해 청년 특화주택, 고령층 맞춤형 임대 주택 건설을 서두르고 있다.
중구 대흥동 일대에 청년 특화 행복한 주택 100호(사업비 238억원)를 조성하고, 동구 인동 일원에 2025년 말까지 노령층을 위한 행복주택 120호(사업비 454억원)를 공급한다.
주택공급과 병행해 주거비 안정을 위해 임대주택 보증금·월세 지원사업 등도 함께 추진한다.
여성 1인 가구에 현관문 안전고리, 보안장치 등을 보급하고, 어두운 골목길 야간 조명을 개선한다.
경찰과 협력해 1인 가구 밀집지에 CCTV를 추가 설치하고, 공중화장실 몰래카메라 단속도 강화할 방침이다.
청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감, 외로움 등을 해소하기 위한 커뮤니티 공간을 확충하고, 요리 배우기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해나갈 예정이다.
특히 가파르게 증가하는 1인 노인 가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자살·고독사 등을 예방하는데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최근엔 지역사회 통합돌봄 대상 어르신과 장애인 등 500명에게 말동무 AI 로봇을 보급했다.
AI 로봇과 대화 도중 '우울·심심' 등의 표현이 나타나면 로봇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제센터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포착해 보호자에게 전달한다.
대전 서구는 올해부터 지역 사회에서 돌봄이 필요한 취약계층을 적극적으로 찾아내기 위해 '찾아가는 복지팀'을 일선 동사무소 3곳에 시범 설치해 운영한다.
지금까지 복지정책이 행정기관을 찾아와 도움을 요청하면 지원해주는 수동적인 태도였다면, 이젠 복지팀 직원들이 직접 주민을 찾아가 필요한 도움을 알아내는 적극적인 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
박문용 시 청년가족국장은 "맞춤형 돌봄서비스, 주택공급, 치안 강화 등을 통해 점점 늘어가는 1인 가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