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맞이 제주 입춘굿 마당 열린다…'어깨가 들썩들썩'

고성식 / 2024-01-30 13:58:15
  • facebookfacebook
  • twittertwitter
  • kakaokakao
  • pinterestpinterest
  • navernaver
  • bandband
  • -
  • +
  • print
2∼4일 목관아 일원서 '움트는 새봄, 꽃피는 새날' 주제
▲ '봄이 성큼'…제주 입춘굿 [연합뉴스 자료 사진]

▲ 제주 전승 탈굿놀이 '얼쑤' [연합뉴스 자료 사진]

봄맞이 제주 입춘굿 마당 열린다…'어깨가 들썩들썩'

2∼4일 목관아 일원서 '움트는 새봄, 꽃피는 새날' 주제

(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 = 남녘 제주에서 새해 새봄을 여는 입춘굿이 펼쳐진다.

30일 제주도에 따르면 '움트는 새봄, 꽃피는 새날'을 주제로 '2024 갑진년 탐라국 입춘굿'이 다음 달 2일부터 절기상 입춘인 4일까지 사흘간 제주목관아 일원에서 열린다.

입춘을 앞둔 2일에는 액운을 없애고 한 해 무사 안녕을 비는 '춘경문굿'이 제주도청과 서귀포 매일올레시장에서 펼쳐진다.

이어 거리굿 풍물패가 옛 제주읍성(제주시 원도심) 동문·서문·남문에서 출발해 입춘굿이 열리는 관덕정까지 행진하며 축제의 시작을 알린다.

또 같은 날 제주 신화 속 풍농의 여신인 '자청비'에게 풍농을 기원하는 유교식 제례 '세경제'가 진행되고 나무로 만든 소 모양의 '낭쉐'를 몰아 고사를 지내는 '낭쉐코사'도 마련된다.

3일에는 입춘 성안 기행, 입춘 수다·메밀떡 나눔, 제주굿 창작 한마당 등 입춘을 축하하는 다양한 공연과 체험 행사가 열린다.

입춘인 4일에는 제주 신화 속 1만8천 신들을 불러놓고 입춘굿이 펼쳐진다.

2∼4일 행사 기간 천냥국수 등 먹거리 마당과 다채로운 체험 마당, 입춘 장터도 열린다.

도는 올해부터 입춘굿 장소를 서귀포 지역까지 확대 운영하고, 제주큰굿보존회 중심에서 제주칠머리당영등굿보존회와 영감놀이보존회까지 함께 행사를 진행한다고 전했다.

또 이번 행사에서는 비보이 댄스, 힙합과 국악의 협업 등 젊은 세대의 참여를 위한 다채로운 공연과 체험 행사를 추가로 준비했다.

김양보 제주도 문화체육국장은 "입춘굿 본연의 전통을 살려 제주도 전승 문화로 명맥을 계속 이어 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더불어 세대를 아우르고 외국인들도 참여할 수 있는 축제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입춘굿은 '신들의 고향' 제주의 1만8천 신들이 역할과 임무가 바뀌는 '신구간'(新舊間)이 끝나고 새로운 신들이 좌정하는 '새 철드는 날'인 입춘에 민·관·무(巫)가 하나 돼 펼쳤던 축제다.

제주 섬의 옛 왕국인 탐라국 시대부터 이어져 왔다는 입춘굿은 일제의 문화 말살 정책으로 단절됐다가 1999년 복원됐다. 이후 해마다 열리며 제주의 대표적 민속축제로 자리 잡았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