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 문인 '남이웅' 교지류도 유형문화재 추가 지정
![]() |
| ▲ 세종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연성지 속지 [세종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
| ▲ 남이웅 교지(敎旨) [세종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
| ▲ 남이웅 유서(諭書) [세종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조선시대 연기현 읍지 '연성지' 세종시 유형문화재로 지정
1824년 제작 추정…"조선 후기 지역문화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
조선 중기 문인 '남이웅' 교지류도 유형문화재 추가 지정
(세종=연합뉴스) 이은파 기자 = 세종시는 시 전신인 충청도 연기현의 모든 것을 담은 '연성지'(燕城誌)를 시 유형문화재로 새로 지정하고, 최근 발견한 남이웅 교지(敎旨)류를 시 유형문화재 '남이웅 유물 일괄'에 포함해 추가 지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연성(燕城)은 연기(燕岐)의 별칭이다.
연성지는 책자 형태의 조선시대 연기현 읍지로, 1934년과 1967년 간행된 연기지에 1824년(순조 24년)에 읍지가 간행됐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뤄 그 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후기 지방군현에서 만들어진 읍지가 중앙정부에서 어떻게 정리돼 다시 엮어지는지를 알려주는 증거로, 조선 후기 세종시 일대의 역사와 문화, 자연환경, 제도 등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고 시는 설명했다.
이번에 유형문화재로 추가 지정된 '남이웅 유물 일괄'은 남이웅과 관련된 유물로, 유서(諭書) 1점과 교지(敎旨) 17점 등 총 18점이다.
남이웅(1575∼1648년)은 인조반정과 이괄의 난, 병자호란 등 17세기의 역사적 사건과 관계가 깊은 조선 중기 대표적인 문인이다.
유서는 1629년 남이웅을 공청도(충청도) 관찰사로 임명할 때 인조가 내린 밀부유서(密符諭書)다.
교지 17점은 1611년부터 1645년까지 수급한 것으로, 조선 중기의 정치사와 외교사, 지역사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로 평가된다.
이은수 문화유산과장은 "세종시와 관련된 역사와 인물 자료를 지속해서 발굴 수집하고 지정·보존해 지역의 역사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역사문화 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풀영상] 제46회 청룡영화상 레드카펫|손예진·현빈·한지민·이제훈·윤아·안효섭·조정석·노윤서·김민주·박지현·박정민 외|The 46th Blue Dragon Film Awards](/news/data/20251119/p179583603614554_175_h.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