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훈맹정음 사용법을 기록한 한글점자 원고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
| ▲ 점자인쇄기(롤러)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
| ▲ 한글점자 육필 원고본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
| ▲ 구 천도교 임실교당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한글점자 '훈맹정음' 관련유물·구 천도교 임실교당 문화재 됐다
(서울=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문화재청은 '훈맹정음' 제작·보급 유물과 점자표·해설 원고 등 2건과 구 천도교 임실교당을 문화재로 등록했다고 4일 밝혔다.
훈맹정음은 일제강점기 시각장애인을 가르친 교육자 박두성(1888∼1963)이 1926년 11월 4일 반포한 6점식 한글점자다. 시각장애인이 한글과 같은 원리로 글자를 익힐 수 있도록 세로 3개, 가로 2개로 구성된 점을 조합해 자음과 모음을 표현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에 문화재로 등록된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은 훈맹정음 사용법 원고, 제작과정 일지, 제판기, 점자인쇄기(롤러), 점자타자기 등 한글점자의 제작·보급을 위한 기록 및 기구 등 8건 48점이다. 당시 사회·문화 상황을 반영하고 근대 시각장애인사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받았다.
'한글점자 훈맹정음 점자표 및 해설 원고'는 '한글점자' 육필 원고본, '한글점자의 유래' 초고본 등 한글점자의 유래와 작성원리, 구조 및 체계를 파악할 수 있는 유물로, 7건 14점이다. 훈맹정음 사용 이전까지 시각장애인들이 한글을 익히게 되는 역사를 보여준다.
'구 천도교 임실교당'은 근대기 한옥 형식으로 건립된 교당으로, 생활공간과 종교공간이 공존하는 독특한 구조다. 오랜 기간 지역의 대표 근대역사문화자원으로서 역할을 했다는 지역적 의미와 건축·종교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