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역사성 간직" 제주 육군 훈련소 정문 문화재 된다

변지철 / 2021-09-06 10:16:08
  • facebookfacebook
  • twittertwitter
  • kakaokakao
  • pinterestpinterest
  • navernaver
  • bandband
  • -
  • +
  • print
▲ 국가문화재 등록 예고된 제주 한국전쟁 유산 (제주=연합뉴스) 한국전쟁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지닌 '제주 육군 제1훈련소 정문' 2기가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된다. 제주 육군 제1훈련소는 한국전쟁 당시 신병을 양성해 서울 재탈환 등 반격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제주도 대정읍에 설립됐다. 각계각층의 의견 수렴과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한 달 뒤 최종 등록될 예정이다. 2021.9.6 [제주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국가문화재 등록 예고된 제주 한국전쟁 유산 (제주=연합뉴스) 한국전쟁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지닌 '제주 육군 제1훈련소 정문' 2기가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된다. 제주 육군 제1훈련소는 한국전쟁 당시 신병을 양성해 서울 재탈환 등 반격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제주도 대정읍에 설립됐다. 각계각층의 의견 수렴과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한 달 뒤 최종 등록될 예정이다. 2021.9.6 [제주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전쟁 역사성 간직" 제주 육군 훈련소 정문 문화재 된다

(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한국전쟁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지닌 '제주 육군 제1훈련소 정문'이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된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의견 수렴과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제주 육군 제1훈련소 정문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최종 등록된다고 6일 밝혔다.

제주 육군 제1훈련소는 한국전쟁 당시 신병을 양성해 서울 재탈환 등 반격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제주도 대정읍에 설립됐다.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상모2교차로 좌·우측에 위치한 정문 2기는 높이 3.7m, 가로·세로 2.5m×2.5m이며, 두 기둥 간 간격은 17m 정도다.

정문 설계자는 고(故) 이영식 씨로 알려져 있다.

평양철도전문학교 토목과 졸업생인 이씨는 21살의 나이로 입대한 후 훈련소 정문 설계 임무를 맡은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 육군 제1훈련소 정문은 기존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된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를 비롯해 제주 구 해병 훈련시설, 강병대교회, 육군 98병원 병동과 함께 한국전쟁 관련 귀중한 유산이다.

특히, 정문을 만들 때 사용된 제주 현무암과 조개껍데기 등의 건축 재료는 제주의 지역적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고, 형태와 양식에서도 시대성을 보여주는 국방 유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번에 등록 예고된 제주 육군 제1훈련소 정문은 앞으로 30일간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기존 등록된 '제주 구 육군 제1훈련소 지휘소'와 연계해 국가등록문화재로 최종 등록될 예정이다.

강만관 도 세계유산본부장은 "대정읍 지역은 한국 근현대사의 산 교육장이자, 살아있는 한국전쟁 박물관"이라며 "해당 지역 내 역사문화자원들을 체계적으로 보전·활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