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상영도집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
| ▲ 수원 항미정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
| ▲ 하남 선법사 석조보살좌상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조선 시대 시문집 '상영도집' 등 6점 경기도문화재 지정
(수원=연합뉴스) 류수현 기자 = 조선 시대 시문집 '상영도집' 등 6점이 경기도문화재로 지정됐다.
경기도는 최근 경기도문화재위원회를 열어 상영도집을 비롯해 수원 항미정, 안성 봉덕사 아미타불회도 및 신중도, 파주 성재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하남 선법사 석조보살좌상 등 6점을 문화재로 결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시문 80편이 수록된 상영도집은 조선 시대 상영도(觴詠圖) 놀이를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상영도 놀이란 주요 관광지(명승지)가 적힌 놀이판을 활용해 가상으로 여행하듯 시문을 작성하는 것으로, 이 상영도집에는 각 지역에 대한 역사와 관련 인물 등이 기록됐다.
1831년 건립된 수원 항미정은 보존 상태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1908년 순종 황제가 융건릉을 참배할 때 방문한 기록도 남아있어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1800년대 제작된 안성 봉덕사 아미타불회도는 그림 양쪽에 사천왕상이 앉은 모습 등 다른 불화에는 없는 특징을 보여주며, 1800∼1900년대 화승 고산축연이 참여한 신중도는 음영법 등 다양한 기법이 활용됐다고 도는 전했다.
파주 성재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크기는 작지만 뛰어난 조각 수법으로 17세기 불상 중에서도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하남 선법사 석조보살좌상은 1600∼1700년대 불상으로 완성도 측면에서 문화재 가치를 인정받았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가요소식] 로이킴, 신곡](/news/data/20251027/yna1065624915906732_372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