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유산 분포지도 개방…화석·암석 표본 통합 DB도 구축

성도현 / 2021-04-29 10:39:57
  • facebookfacebook
  • twittertwitter
  • kakaokakao
  • pinterestpinterest
  • navernaver
  • bandband
  • -
  • +
  • print
문화재청 '지질유산 보존·관리 및 연구 역량' 강화 방침
▲ 화성시 공룡골격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고성 초식공룡 조각류 발자국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질유산 분포지도 개방…화석·암석 표본 통합 DB도 구축

문화재청 '지질유산 보존·관리 및 연구 역량' 강화 방침

(서울=연합뉴스) 성도현 기자 = 문화재청이 매장문화재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정되는 지역의 지질유산 분포지도(GIS)를 만들어 국민에게 개방하고, 화석·암석 표본의 통합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작업에도 나선다.

문화재청은 지질유산에 대한 보존·관리를 체계화하고 지질 분야를 육성하기 위한 이런 사업 등을 통해 '지질유산 보존·관리 및 연구 역량'을 대폭 강화할 방침이라고 29일 밝혔다.

문화재청은 동굴과 화석, 특이지형 등 지질유산이 매장문화재로 보존·관리되고 있지만, 유·무형문화재에 비해 관심도나 인식이 낮고 정책에서도 상대적으로 소외돼 개선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고 전했다.

지난해부터 지질유산 GIS 구축 사업을 시작한 문화재청은 11건의 비지정 지질유산 위치 데이터를 시범 조사했고, 올해에는 천연동굴 위치 데이터 획득 방법과 현장조사 지침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를 토대로 2025년까지 57억3천만원을 투입해 509건의 비지정 지질유산 GIS를 구축한 뒤 관련 정보를 국민에게 개방할 방침이다.

문화재청은 화석·암석 표본 통합 DB 사업도 한다. 국공립기관과 대학, 사립기관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화석·암석 표본 보유 현황을 파악해 현장 실사와 세부 정보 파악 등 절차를 거쳐 표본을 관리할 계획이다.

문화재 관련 학회에서도 이 사업의 취지에 공감하고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재청은 이 사업을 위해 내년부터 3년간 25억원을 투입한다.

이 밖에도 천연기념물 지질유산을 유형별로 보존·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지질유산의 특성을 반영한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도 정비할 방침이라고 문화재청은 전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