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연휴 무료영상통화 이용자 382만명·통화 시간 2천200만분"

정윤주 / 2021-03-03 12:00:08
  • facebookfacebook
  • twittertwitter
  • kakaokakao
  • pinterestpinterest
  • navernaver
  • bandband
  • -
  • +
  • print
과기정통부 발표…"14시작 6자리 번호 활용 건수는 약 86만건"
▲ 설 연휴 영상통화 이용량 비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14대표번호 부여 개수, 이용 건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비대면 종교활동 지원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설연휴 무료영상통화 이용자 382만명·통화 시간 2천200만분"

과기정통부 발표…"14시작 6자리 번호 활용 건수는 약 86만건"

(서울=연합뉴스) 정윤주 기자 = 지난 설 연휴 정부와 통신 3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고향을 찾지 못한 국민에게 무료로 제공한 영상통화 이용자가 382만 명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이들 이용자가 사용한 설 연휴 무료 영상통화 건수는 637만 건, 통화 시간은 2천200만 분이었다. 설 당일에는 약 40% 이용자가 집중됐다.

과기정통부는 통신 3사와 설 민생안정과 이용자 보호를 위해 설 연휴 무료로 영상통화를 제공했다.

14로 시작하는 6자리 전화번호(140000)는 약 86만 건 활용됐다.

14로 시작하는 번호는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출입 명부 작성을 대체하는 것으로, 공공청사나 사회복지시설, 일반 기업 등에 발급했다.

14로 시작하는 번호로 전화를 걸면 자동으로 방문자와 방문 일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부터 공공기관과 기업·기관 등에 부여한 14로 시작하는 전화번호 개수는 총 8천50개이고, 누적 통화 건수는 85만8천976건이다.

온라인 종교활동 지원 건수는 총 7천63건이었다.

이중 방송플랫폼 이용 안내는 총 4천936건, 데이터 지원과 통신 품질 개선은 2천127건이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4월부터 200인 이하 중소 종교단체가 실시간 방송 플랫폼을 이용해 종교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플랫폼 활용 방법을 안내하고 이동통신 데이터를 무료로 지원하는 사업을 벌이고 있다.

코로나19 감염이 이어지고 있는 점을 고려해 2월 종료 예정이었던 지원 사업은 4월까지 2개월 연장한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