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유산 한국 전문가 "에도시대로 한정, 한계와 약점 은폐하려는 시도"
![]() |
| ▲ 메이지 시대 이후 건설된 사도광산 갱도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 |
| ▲ 사도광산의 상징인 V자형 계곡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 |
| ▲ 메이지시대 이후 건설된 사도광산 갱도 (사도=연합뉴스) 김호준 특파원 = 사도광산을 대표하는 아이카와 금은산에서 메이지시대 이후 건설된 갱도. 구불구불하고 좁은 에도시대 갱도와 달리 비교적 넓게 매끈하게 뚫려 있다. 사도광산에는 2천 명 이상으로 추정되는 조선인이 태평양전쟁 기간 일제에 의해 동원돼 가혹한 환경에서 강제노역했다. 일본 정부는 이런 사도광산의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천을 검토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는 이에 반발하고 있다. hojun@yna.co.kr |
日시민단체 "사도광산 본질은 세계유산의 일본 국내정치 이용"
동북아역사재단 학술세미나서 지적…"세계유산 가치관과 동떨어져"
산업유산 한국 전문가 "에도시대로 한정, 한계와 약점 은폐하려는 시도"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일본의 사도(佐渡) 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은 한일 간 문제가 아니라 세계유산을 정권 유지에 활용하려는 일본 정부의 문제라는 일본 시민단체의 지적이 나왔다.
고바야시 히사토모(小林久公) '강제동원 진상규명 네트워크' 사무국 차장은 동북아역사재단이 16일 개최한 사도 광산 온라인 학술세미나에서 사도 광산 세계유산 등재 논란의 본질은 일본 정부가 지역 주민의 바람을 왜곡해 '역사전쟁'이라고 부르며 정치에 이용하고 외교 문제로 변질시킨 데 있다고 주장했다.
고바야시 차장은 세미나에 앞서 배포된 발제문에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와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가 가해 책임을 회피하는 역사수정주의를 고집하는 데 대해 "허구를 날조하고 자기만족만 채울 뿐"이라며 "사도 광산 문제는 인류 전체를 위한 유산이라는 세계유산 가치관과 동떨어져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일본 정부가 조선인 강제동원 현장인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으로 신청하면서 시기를 에도(江戶) 시대(1603∼1867)로 한정한 것이 '꼼수'라고 강조하고 "세계유산위원회는 유산의 '역사 전체'를 이야기하도록 요구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산업유산 전문가인 강동진 경성대 교수도 일본 정부가 사도 광산을 에도 시대 이전으로 한정하고, 유산 대상 지역을 축소한 점이 논란의 불씨가 됐다고 짚었다.
강 교수는 "에도 시기 한정은 일본 스스로 사도 광산에서 조선인 강제노동이 있었음을 인정하고, 1868년 시작된 메이지 시대 이후 변화의 치명적 한계와 약점을 은폐하려는 시도"라고 분석했다.
이어 시기를 한정한 다른 나라의 세계유산들은 탄생에서 소멸에 이르는 과정을 정확히 설명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사도 광산을 대표하는 풍경인 V자형 계곡 '도유노와레토'(道遊の割戶)가 에도 시대가 아닌 메이지 시대 다이너마이트 폭파의 산물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최근 사도 광산에 관한 책을 발간한 정혜경 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연구위원은 국제 학술연구 네트워크 구축, 관련 기록물 관리, 한일 민간 교류 강화, 국내에 남은 일제강점기 전쟁 유적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 등을 대응 방안으로 제시했다.
정 위원은 또 사도 광산 문제가 강제동원 전반의 문제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일제의 강제동원 진상을 밝힐 연구기관을 상설 운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남상구 동북아역사재단 정책연구실장은 2015년 세계유산에 등재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이나 사도 광산의 강제노동이 논점으로 부상할 때마다 일본 정부가 조선인이 일본에서 노동했지만 강제동원은 없었다는 논리를 되풀이한다고 비판했다.
남 실장은 "한국인뿐만 아니라 중국인, 연합국 포로도 피해를 본 군함도 등과 달리 사도 광산은 한국인만 동원됐고 등재 추진 주체인 사도시와 니가타현이 강제동원 사실을 적극적으로 부정하지는 않고 있다"며 "일본의 식민지배와 한국인 강제동원 실태라는 커다란 틀 속에서 사도 광산을 다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징용'이라는 용어가 일본에서 강제동원 책임을 외면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면서 사도 광산 문제를 논의할 때 용어 선정에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본 정부는 지난 1일 니가타현 사도섬에 있는 사도 광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신청했고, 신청서에서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제외한 것으로 알려졌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