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레이블협회 "소상공인 손실보상제 전면 재검토" 국민청원

김효정 / 2021-10-07 17:05:56
  • facebookfacebook
  • twittertwitter
  • kakaokakao
  • pinterestpinterest
  • navernaver
  • bandband
  • -
  • +
  • print
공연업, 손실보상 대상서 제외…"매출 78% 감소로 생계유지도 어려워"
▲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제공]

음악레이블협회 "소상공인 손실보상제 전면 재검토" 국민청원

공연업, 손실보상 대상서 제외…"매출 78% 감소로 생계유지도 어려워"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 정부가 추진하는 소상공인 손실보상 대상에서 제외된 대중음악 공연업계 단체가 지원 규정의 전면 재검토를 요구했다.

중소 레이블과 음악유통사 등이 회원으로 가입된 사단법인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음레협)는 지난 6일 이런 내용의 청와대 국민청원을 올렸다고 7일 밝혔다.

음레협은 청원에서 "대중음악 업계는 20개월이라는 시간 동안 준비하던 공연들이 방역지침에 의하여 취소되며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음레협은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지난해 2월부터 올해 6월까지 업계 피해 규모를 조사한 결과 1천 건이 넘는 공연이 취소됐고 피해액은 1천800억원 이상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올해 대중음악계 매출은 약 78% 감소했다. 이는 생계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감소가 아니다"라며 "부디 정확한 기준 아래 공정하게 지급될 수 있도록 손실보상 규정을 전면 재검토해 달라"고 요구했다.

오는 8일부터 시행되는 소상공인 손실보상 제도는 정부의 집합금지, 영업시간 제한 등 직접적 방역 조치에 따른 손실이 대상이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공연업이나 여행업 등이 사각지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도 지난달 8일 기자회견에서 "업 자체가 붕괴했음에도 영업금지 업종 분류가 안 됐다는 이유로 크게 보상 고려조차 되지 못했다"며 "이런 파탄에 대해 정부는 분명한 답을 제시하길 바란다"고 촉구한 바 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