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일본 교과서 대응 세미나…독도·위안부 기술 문제점 분석

박상현 / 2022-03-29 17:45:58
  • facebookfacebook
  • twittertwitter
  • kakaokakao
  • pinterestpinterest
  • navernaver
  • bandband
  • -
  • +
  • print
▲ 독도를 '다케시마'로 표기한 일본 고교 교과서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내년에 일선 학교에서 사용되는 것을 목표로 일본 문부과학성에 검정을 신청한 일본 고교 교과서에 한국 영토인 독도가 '다케시마'(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로 표기돼 있다. 2022.3.29 photo@yna.co.kr

내일 일본 교과서 대응 세미나…독도·위안부 기술 문제점 분석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동북아역사재단은 29일 일본 정부 검정을 통과한 일본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독도·위안부 기술 문제점 등을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전문가 세미나를 30일 연다고 밝혔다.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와 함께 서울 서대문구 동북아역사재단 대회의실에서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하는 세미나에서는 박한민·석주희 재단 연구위원이 검정교과서의 독도 관련 서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한혜인 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연구위원이 위안부와 강제동원 관련 서술을 논한다.

이어 발표자와 토론자, 서종진 동북아역사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장 등이 종합 토론을 한다.

이번에 통과된 일본 고교 사회과 교과서는 대부분 일본 정부 견해를 적극적으로 반영해 독도를 '일본의 고유 영토'라고 명시하고, '종군 위안부' 용어에서 '종군'을 삭제했다. '강제 연행'이라는 표현은 '동원'이나 '징용'으로 바뀌었다.

세미나를 위해 동북아역사재단은 검정에 합격한 사회과 교과서 31종 가운데 한국 관련 내용이 없는 6종을 제외한 일본사탐구·세계사탐구 등 25종을 분석했다.

동북아역사재단 관계자는 "고대 한일관계에서 한반도에 대한 왜의 우위나 영향력을 강조하는 서술은 다소 축소됐으나, 고려 영역 전체 혹은 일부를 몽골제국 영역으로 표시한 지도는 계속 게재됐다"며 "일본군 위안부와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가 한일관계 악화의 원인이라고 기술한 사례도 있었다"고 말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