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답변하는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서울=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문화체육관광부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2.10.5 [국회사진기자단] toadboy@yna.co.kr |
박보균, 中 국가박물관 연표 논란에 "중국 측 고의성 있다"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김예나 기자 =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최근 중국 국가박물관이 고구려와 발해를 뺀 한국사 연표를 전시해 논란이 된 것과 관련해 "(중국 측의) 고의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5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문화체육관광부 국정감사에서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의 "이번 사태가 중국 측의 단순 실수라고 생각하나, 고의로 누락시켰다고 생각하나"란 질의에 "고의적이냐, 단순(실수)이냐 하는 게 논란이 되고 있지만 다분히 고의성이 있다"고 답했다.
최근 중국 국가박물관은 한중 수교 30주년과 중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을 맞아 연 '동방길금(동방의 상서로운 금속)-한중일 고대 청동기 전(展)'에서 고구려·발해 내용을 뺀 연표를 게시해 논란이 됐다.
국립중앙박물관 측은 수정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전시 유물을 철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이에 중국 측은 한국과 일본, 중국 관련 연표를 모두 철거했다.
이 논란을 두고 윤성용 국립중앙박물관장이 공식적으로 사과했으나 문체부 장관이 입장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김 의원은 "민간 차원에서 그간 여러 동북공정 시도가 있었는데, 국가기관의 공식 행사에서 이런 일이 벌어졌다"며 "한 언론사 특파원이 이 사실을 발견하기 전까지 50일 동안 정부 부처에서는 아무도 몰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2004년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해 양국 정부 차원에서 (고구려사 관련) 왜곡을 하지 않는다는 구두 합의를 했다. 이번 문제가 이 합의 사항을 위반한 것으로 생각하지 않나"라며 중국뿐 아니라 일본 등 해외에서 우리 역사에 대한 왜곡이 심각하지만 정부의 대책은 미진하다고 질타했다.
박 장관은 "정부 차원에서 미진한 부분도 있고, 거기에 대해 어떻게 민간단체와 협의할 것인지, 범정부 차원에서 대응할 것인지 하는 문제도 있다. 종합적으로 머리를 맞대서 (대책을) 짜고 있다"고 말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