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예산] 문화재청 1조3천489억원 편성…문화재관람료 지원에 554억원

김예나 / 2023-08-29 11:01:29
  • facebookfacebook
  • twittertwitter
  • kakaokakao
  • pinterestpinterest
  • navernaver
  • bandband
  • -
  • +
  • print
올해 예산 대비 소폭 줄어…문화재 보존관리 및 보호에 8천145억원
내년에 매장문화재 진단 조사 비용 지원·창덕궁 돈화문 보수 등 추진
▲ 수문장 교대식 관람하는 관광객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유커의 유입과 함께 한국을 찾는 관광객들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27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수문장 교대식을 관람하고 있다. 2023.8.27 hwayoung7@yna.co.kr

▲ 문화재청 2024년 예산안 주요 내용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2024년도 중점 투자 분야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4예산] 문화재청 1조3천489억원 편성…문화재관람료 지원에 554억원

올해 예산 대비 소폭 줄어…문화재 보존관리 및 보호에 8천145억원

내년에 매장문화재 진단 조사 비용 지원·창덕궁 돈화문 보수 등 추진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문화재청은 29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예산·기금 정부안에 따라 내년도 예산이 1조3천489억원으로 편성됐다고 밝혔다.

올해 예산 1조3천508억원과 비교하면 약 19억 줄어든 수치다.

분야별 예산을 살펴보면 문화재 보존관리 및 보호 예산이 8천145억원으로 가장 많다.

이어 문화재 활용에 961억원을 투입하고 문화재 국제교류 564억원, 문화유산 교육 연구 792억원, 문화재 정책 기반 구축 1천823억원 등의 예산을 쓸 예정이다.

주요 사업 중에는 국가가 지정 또는 등록한 문화유산의 원형 보존을 위한 보수·정비 예산 총액이 4천634억원에서 5천103억원으로 늘어 증가 폭이 큰 편이다.

지난 5월부터 국가지정문화재를 관리하는 전국 65개 사찰이 입장객에게 받던 문화재 관람료를 면제함에 따라 감면 비용을 국가가 지원해주는 예산 규모도 늘었다.

개정된 문화재보호법이 시행된 올해 5월 4일부터 연말까지 약 8개월간 확보된 예산은 약 421억원이었으나, 내년에는 이보다 133억원 늘어난 554억원이 편성됐다.

내년에 새롭게 시작하는 사업으로는 매장문화재 진단 조사 비용 지원, 사회적 약자 디지털 기반 조성, 창덕궁 돈화문 보수, 취약지역 문화유산 실태조사 등이 추진된다.

문화재청은 문화유산 행정 및 체계의 기본을 '국가유산'으로 전환하는 내년에 '국가유산체제 전면 도입을 통한 국민과 상생하는 행복한 대한민국 구현'을 목표로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 누구나 누리는 국가유산 복지 실현 ▲ 국민이 공감·참여하는 보호체계 도입 ▲ 문화 선진국으로서의 글로벌 역할 강화를 위한 사업에 중점 투자할 방침이다.

문화재청은 '창덕궁 달빛기행', '덕수궁 밤의 석조전', '수문장 교대 의식' 등 궁궐을 활용한 주요 문화유산 프로그램의 운영 횟수를 828회에서 1천60회로 늘릴 예정이다.

무형유산 전승자가 전통문화의 맥을 이을 수 있도록 전승 지원금 144억원을 투입하고, 국가무형유산 전수교육관 건립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폭염, 폭우 등 각종 기후 위기로부터 국가유산을 지키기 위한 준비도 나선다.

문화재청은 문화재 재난 안전 관리를 위해 260억원, 취약지역 문화유산 보존관리에 11억원 등을 편성하고 안전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프랑스 국립도서관이 소장한 한국 문화유산 실태 조사(3억원) 사업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미래 자원으로서 국가유산의 가치를 인정하고, 체계적으로 보존·확산하는 국가의 본질적 기능을 충실하게 추진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고 평가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