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숙선 명창, 판소리 '춘향가'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됐다

김예나 / 2022-09-06 09:15:33
  • facebookfacebook
  • twittertwitter
  • kakaokakao
  • pinterestpinterest
  • navernaver
  • bandband
  • -
  • +
  • print
기존 '가야금산조 및 병창' 보유자 자격은 해제…"전승 체계 안정"
▲ 안숙선 명창 모습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안숙선 명창 모습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안숙선 명창, 판소리 '춘향가'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됐다

기존 '가야금산조 및 병창' 보유자 자격은 해제…"전승 체계 안정"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전 세계에 우리 소리를 알려온 국악인 안숙선(73) 명창이 판소리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인정받았다.

문화재청은 안 명창을 '판소리(춘향가)'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인정한다고 6일 밝혔다.

문화재청은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였던 고(故) 김순옥(예명 김소희·1917∼1995) 씨에게 춘향가를 배웠으며, 판소리 명창으로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을 만큼 판소리 전승에 힘써 왔다"고 설명했다.

전북 남원 출신의 안 명창은 소리의 길에 들어선 뒤 60여 년을 국악과 함께했다.

1957년 여덟 살의 나이에 국악을 시작한 그는 1979년 국립창극단에 입단해 주역을 도맡았으며 1986년 판소리 5바탕(춘향가, 흥보가, 심청가, 수궁가, 적벽가)을 완창했다.

1997년에는 '가야금산조 및 병창' 보유자였던 스승 박귀희(1921∼1993) 명창에 이어 보유자가 됐다.

창극 스타로 이름을 알리던 그는 국립창극단 단장 겸 예술감독,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성악과 교수,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예술감독 등 굵직한 수장 자리를 맡기도 했다.

안 명창은 국제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우리 전통문화 선양에 힘쓴 공로로 1998년 프랑스 정부로부터 예술문학훈장을 받았으며 지난해 대한민국 은관 문화훈장을 수훈했다.

이번에 '판소리' 보유자로 인정되면서 기존 '가야금산조 및 병창' 보유자 자격은 해제됐다.

문화재청은 국가무형문화재 전승 체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명의 보유자가 여러 종목에서 동시에 인정받지 않도록 하고 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