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국사 연표 철거한 중국 국가박물관 (베이징=연합뉴스) 한종구 특파원 = 16일 중국 베이징 국가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동방길금(동방의 상서로운 금속) - 한중일 고대 청동기전'에서 고구려와 발해를 뺀 한국 고대사 연표를 철거한 모습. 2022.9.16 jkhan@yna.co.kr |
![]() |
| ▲ 외교부, 2022년 하반기 역사 담당관 회의 개최 [외교부 제공] |
'中박물관 사태 재발 막자' 외교부, 현지 공관과 역사담당관회의
3월 이어 이례적으로 또 개최…"면밀히 모니터링해 역사문제 적극대응"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외교부가 최근 발생한 '중국 국가박물관 연표 사태' 재발을 막고자 23일 현지 공관, 국립중앙박물관 등과 하반기 역사담당관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공관, 유관기관과 함께 역사 관련 사안을 점검·논의하는 역사담당관 회의를 매년 개최해오고 있다.
올해의 경우 이달 중국 국가박물관서 열린 한중일 고대 유물 전시회에서 중국 측이 한국 고대사를 소개하며 고구려, 발해를 고의로 빼 논란이 되자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하는 차원에서 지난 3월에 이어 이날 또 한 번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는 중국대사관, 주광저우·주상하이·주선양·주시안·주우한·주청두·주칭다오·주홍콩총영사관, 주다롄출장소와 교육부, 국립중앙박물관, 한국학중앙연구원, 동북아역사재단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역사문제가 우리 국가와 민족의 정체성에 관련된 사안임을 재확인하고 범정부 차원에서 어떠한 역사문제에 대해서도 객관적 사실을 토대로 엄정하고 단호하게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최근 발생한 중국 국가박물관 특별전 사례와 관련한 경위·조치현황 등을 면밀히 점검하고 향후 유사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이번 사례의 원만한 처리를 위한 한중 박물관 간 소통 촉진과 더불어 역사 관련 사안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범정부 차원의 소통·대응 체계도 강화한다.
외교부는 "앞으로도 주변국의 역사 인식·역사 서술 동향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면서 역사 문제에 대해 적극 대응할 것"이라며 "우리 역사의 올바른 서술·인식이 국제적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노력을 경주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Full ver.] tripleS msnz 'Beyond Beauty' Showcase|트리플에스 미소녀즈 쇼케이스 풀영상|김유연·윤서연·박소현·신위·김나경·니엔·코토네 외](/news/data/20251124/p179580607285980_354_h.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