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문화도시'에 제주 서귀포…"105개 마을의 노지문화"

이은정 / 2023-02-23 14:00:01
  • facebookfacebook
  • twittertwitter
  • kakaokakao
  • pinterestpinterest
  • navernaver
  • bandband
  • -
  • +
  • print
문체부, 문화도시 18곳 지난해 성과 발표…"로컬콘텐츠 발전소"
지자체 103곳 문화도시 조성계획 수립·88곳 관련 조례 제정
▲ '2023 올해의 문화도시'에 제주 서귀포시 선정 (서울=연합뉴스) 전병극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이 23일 제주도 서귀포시 칼호텔에서 2023 올해의 문화도시에 선정된 서귀포시를 대표해 이종우 서귀포시장(오른쪽)에게 현판을 수여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 성읍민속마을 마방터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 카페를 지역 문화 공간으로 조성한 마을라운지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 '2023 올해의 문화도시'에 서귀포 (서울=연합뉴스) 전병극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이 23일 제주도 서귀포시 칼호텔에서 2023 올해의 문화도시에 선정된 이종우 서귀포시장을 비롯한 최우수 도시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 다.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올해의 문화도시'에 제주 서귀포…"105개 마을의 노지문화"

문체부, 문화도시 18곳 지난해 성과 발표…"로컬콘텐츠 발전소"

지자체 103곳 문화도시 조성계획 수립·88곳 관련 조례 제정

(제주=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정부가 지역 문화 균형 발전을 위해 추진하는 문화도시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제주 서귀포시를 '올해의 문화도시'로 선정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3일 제주시 서귀포 칼호텔에서 지난 한 해 동안 문화도시 조성 사업을 추진한 18개 도시의 성과를 소개하고 '2023 올해의 문화도시'로 서귀포를 발표했다.

전병극 1차관은 이 자리에서 이종우 서귀포시장에게 '2023 올해의 문화도시' 현판을 수여했다.

전 차관은 "지역의 고유한 문화콘텐츠를 발굴해 새롭게 디자인하고 도시의 경쟁력과 차별화를 끌어내는 것이 문화도시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문체부는 지난 1~2월 문화도시 18곳의 지난해 사업 성과를 점검해 서귀포시와 함께 청주시, 춘천시, 완주군, 밀양시 등 5곳을 최우수 도시로 선정했다. 이번에 도입한 올해의 문화도시는 최우수 도시 가운데 1곳을 매년 선정하는 제도이다. 최우수 도시 5곳에는 각각 예산 1억 원을 더 지원한다.

서귀포는 멋스러운 자연경관과 105개의 자연부락(마을)을 품은 지역이다.

'105개 마을이 가꾸는 노지(露地)문화'를 근간으로 글로벌 생태문화도시를 지향해 2019년 제1차 문화도시로 지정됐다. 노지문화는 서귀포 사람들이 한라산, 오름, 숲, 바다 등 자연에 적응하며 이룬 삶의 문화를 뜻한다.

서귀포는 지난해 카페, 책방 등 민간 공간을 지역주민 문화 활동 장소로 활용하는 '마을라운지' 47곳을 조성해 105개 마을이 겪는 문화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자 했다.

또한 노지문화축제-마을산책-노지마켓 등을 통합 운영해 관광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했다. 특히 옛 생활문화 중심지인 성읍마을의 600년을 기념하는 '성읍예술잔치', 성읍 공예가가 참여하는 노지마켓, '마을 공동목장' 산책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해 호응을 얻었다.

지난 3년간 추진한 문화도시는 지역의 고유한 문화자원을 활용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도록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라 문체부 장관이 지정한다.

문체부는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제1차 7곳, 2차 5곳, 3차 6곳, 4차 6곳 등 총 24곳을 문화도시로 지정했다. 이번 성과 점검에서는 지난해 12월 지정된 4차 도시는 제외됐다.

문체부는 지난해 18곳에 각각 국비 15억 원을 지원해 지역문화 여건 개선, 지역 고유 문화기반 문화콘텐츠 발굴 및 지원, 창의적인 문화인력 양성 등을 뒷받침했다.

문화도시 사업 성과로는 지역 중심 문화정책 기반 조성, 지역문화 장벽 해소, 지역 고유문화 도시 브랜드화, 로컬콘텐츠로 지역 경제 활성화, 다양한 도시 정책의 연계·협력 주도 등을 꼽았다.

문체부에 따르면 2018년 문화도시 추진계획 발표 이후 전국 광역·기초지방자치단체 243곳 중 103곳(42%)이 문화도시 조성계획을 수립하고 지자체 88곳이 '문화도시 조례'를 제정했다. 특히 기초지자체 단위 문화재단 수는 2018년 71곳에서 117곳으로 급증했다.

18개 도시에서 3천407곳의 문화 공간을 조성했으며 이들 도시 전체 인구 750만 명의 33%인 250만 명(중복 참여자 포함)이 지역 문화를 향유했다.

문체부는 문화도시가 지역을 살리는 로컬콘텐츠 발전소가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 사례로 청주는 지역의 역사적 상징인 '직지'를 모티브로 한 기록문화 콘텐츠를 육성했다.

문체부는 올해 1차~4차 문화도시 24곳에 총 364억 원을 지원한다. 아울러 도시 간 연계를 통해 문화균형발전을 선도할 '대한민국 문화도시' 7곳 내외를 신규로 지정한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