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봉화터 설명 듣는 장수군 관계자들 [장수군 제공] |
전북 장수군서 삼국시대 봉화터 출입시설 확인…"석조계단 형태"
(장수=연합뉴스) 정경재 기자 = 전북 장수군 봉화터에서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석축 구조물이 확인됐다.
장수군은 최근 전주대박물관과 천천면 월곡리 봉화터 발굴조사를 통해 이러한 시설을 발견했다고 9일 밝혔다.
확인된 유적은 봉화 외곽 약 21m를 두른 석축 구조물과 돌을 정연하게 다듬은 계단 형태 출입 시설이다.
군은 전북 동부지역 봉화터에서는 처음으로 출입 시설이 발견됐다며, 고대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군은 장수가야 역사 재정립을 위해 문화재청 허가를 받아 '가야문화 유산 연구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장영수 군수는 "최근 발굴조사가 이뤄진 봉화터에서 고대사회 위상과 가치를 규명할 수 있는 사료가 발견돼 뜻깊게 생각한다"며 "가야 역사를 지속해서 연구하고 유적을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