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 미국 바이든 정부에 제주4·3 공동조사 요구

고성식 / 2021-01-21 21:06:21
  • facebookfacebook
  • twittertwitter
  • kakaokakao
  • pinterestpinterest
  • navernaver
  • bandband
  • -
  • +
  • print
▲ 4.3 총살 현장의 미군 [연합뉴스 자료 사진]

시민사회단체, 미국 바이든 정부에 제주4·3 공동조사 요구

(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 = 제주4·3 단체들이 미국 정부에 과거 미군정 시기 발발한 제주4·3에 대해 공개 사과와 진실규명을 위한 공동조사를 요구했다.

제주4·3범국민위원회와 재일본제주4·3유족회, 미주제주4·3유족회준비위원회,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는 21일 46대 미국 대통령 취임에 맞춰 바이든 정부에 공개 서한문을 보내 제주4·3에 대한 미국 책임을 인정하고 공동 조사를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서한문을 통해 "3만 명 이상이 희생당한 제주4·3 학살은 이승만 정부와 당시 대한민국 국군과 경찰의 작전통제권을 갖고 있던 미군이 경찰 폭력과 분단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심각하게 탄압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또 "정작 책임을 져야 할 미국 정부는 70년 넘는 긴 세월이 흘렀지만, 지금까지 방관자적 태도로 아무런 말이 없었다"면서 "미국은 제주 4·3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지고 공식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2005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한 국제인권법의 중대한 위반행위와 국제인도법의 심각한 위반 행위 피해자의 구제와 배상에 대한 권리에 관한 기본원칙 및 가이드라인에 근거해 민간인 학살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고 그에 상응하는 조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4·3단체들은 "제주4·3이 동북아의 작은 섬에서 일어났지만, 비극적인 역사에 대한 책임 있는 모습을 통해 새로운 인권과 평화의 시대를 열어 달라고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제주4·3특별법에 따르면 제주4·3은 미군정 시기인 1947년 3월 1일 삼일절 기념대회 경찰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한국전쟁 이후인 1954년까지 지속한 민간인의 집단희생 사건을 말한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